NICNIC는 통신 매체에 흐르는 전기, 빛 등 다양한 신호를 호스트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NIC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LAN 카드, 네트워크 카드, 이더넷 카드(이더넷 네트워크의 경우)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카드라는 표현이 붙은 이유는 초기 NIC는 확장 카드 형태로 따로 연결하여 사용했기 때문이다.요즘에는 USB로 연결하거나 마더보드에 내장되는 등 NIC의 형태가 다양해졌다.NIC는 통신 매체에 흐르는 신호를 호스트가 이해하는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호스트가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정보는 NIC를 거치게 된다. 이처럼 NIC는 네트워크와의 연결점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
이더넷이란?이더넷(Ethernet)은 현대 LAN, 특히 유선 LAN환경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컴퓨터끼리 정보를 주고받으려면 케이블과 같은 통신 매체가 필요하며,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이 정해져야 한다. 이더넷은 다양한 통신 매체의 규격들과 송수신되는 프레임의 형태, 프레임을 주고받는 방법 등이 정의된 네트워크 기술이다.오늘날의 유선 LAN 환경이 대부분 이더넷을 기반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프레임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PDU이다.이더넷이라는 기술이 세상에 등장한 이후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라는 국제 조직을 통해 IE..
프로토콜프로토콜은 노드 간에 정보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해 합의된 규칙이나 방법이다.패킷이 호스트에게 전달되기 위해선 여러 중간노드를 통해서 전달되는데, 패킷을 올바르게 목적지로 보내기 위해선 중간 노드가 패킷에 적힌 주소 정보를 읽고 보내야 한다. 이때 중간 노드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프로토콜이 필요하다.패킷이 수신할 노드 또한 패킷에 적힌 내용을 읽고 파악해야 하는데, 이때에도 호스트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로 구성하기 위해서 프로토콜이 필요하다.일반적으로 여러 프로토콜을 함께 사용한다.프로토콜은 여러 종류가 존재하며, 각자의 목적과 특징이 있다. 패킷에는 헤더와 트레일러라는 부가 정보가 포함되는데, 이 정보 또한 프로토콜에 맞게끔 정보가 바뀔 수 있다. 즉, 프로토..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네트워크는 그래프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래프란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이다.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다.노드 :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간선 :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유무선의 통신 매체메시지 : 노드 간 주고받는 정보호스트란?네트워크를 그래프 관점으로 봤을 때 가장 말단에 있는 노드를 호스트라고 한다.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종단 시스템(end system)이라고도 한다.호스트는 최초로 정보를 생성 및 송신하고, 최종적으로 수신한다. 호스트는 서버 컴퓨터가 될 수도 있고, 개인 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호스트가 네트워크상에서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있다.서버 : 서비스..
컴퓨터 네트워크란?컴퓨터 네트워크(이하 네트워크)는 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폰 같은 장치들을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한다.스마트폰이나 PC로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다른 장치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이유는 컴퓨터 네트워크가 있기 때문이다.또한 멀리 떨어진 장치와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데,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이 인터넷이다.인터넷은 여러 네트워크끼리 연결한 형태이며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라고 이해할 수 있다.현대의 네트워크 중요도현대에 사용하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떠올려보자. 유튜브, 웹툰, 브라우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들 중에서 인터넷 연결 없이 온전하게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몇 없다. 그만큼 현대엔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인..